728x90

전체 글 125

[FrameWork] Next.js를 시작하기 전에 (SSR은 무엇인가?)

요즘 내 최대 관심사가 딱 두가진데, 첫번째는 앱개발이고 두번째가 NEXT.js다 왜 두가지에 관심이 많냐면, 일단 전자에 대한 이유는 앱을 안할 수가 없다. 사람들이 PC를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만, 결국 제일 쉽고 가볍게 접근 할 수 있는건 모바일 환경이라 일반적인 웹프론트는 구하는데도 상당히 적고 대부분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의 Admin 페이지 같은거만 웹프론트로 개발하는 것 같음. 때문에 개발 시장에서 프론트 개발자가 앱 안하면 도태될게 뻔하다는게 보인다. 후자에 대한 이유는 UX 향상에 대한 관심도 때문이기도 한데, 어디서 지나가는 얘기로 대충 일반적으로 화면 렌더링 되는데 3초이상 걸리지 않는게 좋다고 들었어서 생각해보니 지금 주로 내가 개발하는 웹어플리케이션들이 그 시간을 넘어가는 것 같더..

Dev/React.js 2023.06.02

[TypeScript] TypeScript

어디서 봤는데 TypeScript가 Front-End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싶은 언어 1위라고 하더라. 근데 오히려 학원에서 한창 배울 당시에 코로나 걸려서 javaScript 스킵하다시피하고 회사와서 바로 TypeScript 쓰라길래 TypeScript쓴 내 입장에선 공부할 것도 없이 걍 익숙해져버린 언어라 제대로 공부해볼 생각조차도 안했던 것 같다. JavaScript도 그냥 코테 공부하려니 선택지가 그나마 열심히 써봤던 언어가 그것 뿐이라 골랐던거구..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공부하게 되었다는 느낌이 되어버렸다. 서론은 이제 끊고, TypeScript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 1. 타입스크립트란? TypeScript는 JavaScript에 Type을 부여한 확장판 같은 것이다. 그 콘솔겜 하다보면 확장..

Dev/JavaScript 2023.06.02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3)

이번 주에 회사에 열이 뻗쳐서 이런 글을 미친듯이 써제끼게 되는데, 감정에 휩쓸려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생각은 없으니 안심했으면 좋겠다. 근데 잘못된 정보이길 바랄만큼 슬픈 이야기들이라 한편으로는 미안하기도하다. 대부분 개발자를 꿈꾸거나 흔히 주변에 괜찮은 연봉 받으면서 매번 근무지가 바뀌지 않고 한 곳으로 출퇴근 하는 개발자를 알고 있다면, 일반적인 직장인들은 잘 생각하지 못하는 개발자들의 휘황찬란한 복지(Like 재택근무)를 기대하거나, 상상할텐데 혹시나 실수로라도 중소SI개발자에게 그런걸 물어선 안된다. 그 사람이 불쌍하니까. 우리가 흔히 듣던 개발자들의 복지는 (나름 유명한 회사에 다닌다는 가정하에) 뭐 대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복지들을 베이스로 깔고, + 재택근무 / 고오급 장비 지원 / 자유로..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2)

이번엔 중소 SI 개발자의 고객 상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건데 이건 지극히 내 경험담이다. 내가 첫 프로젝트에 투입됐을 때 학원에선 제대로 구경도 못해본 React / Redux 조합의 Front-end 개발을 하게 됐었다. 그리고 처음 들어간 플젝이다보니, 뭐 개발자의 입장에서 고객을 상대해본적이 있겠는가? 절대 없음. 근데 이 SI라는게 어쩔 수 없이 고객을 상대해야한다. 만들어 달라고 한걸 만들다가 뭐가 막히면 고객 불러다 앉혀놓고 물어봐가면서 개발해야하기 때문이다. 일단 React는 제쳐두고 HTML 복붙해서 화면 찍어내던 내게는 Front-end 라는게 별도로 존재한다는거에서부터 엄청난 멘탈 바사삭! 이 왔는데 React / Redux Browser에서 Front-end App 이 돌아가고 이런..

[React] useMemo, useCallBack

우리가 일반적인 함수의 형태로 컴포넌트에 함수를 선언하게 되면 해당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때 (lifeCycle에 따라서) 일반적인 함수로 선언된 모든 함수가 새롭게 렌더링이 된다. 이는 사실상 쓸데 없는 메모리를 잡아먹는 행위이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React에서는 결과값 하나를 리턴해야하는 것의 경우에는 useMemo, 특정한 동작자체를 리턴해야한다면 useCallBack를 사용해 그 메모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대부분 구글링을 해봐도 콜백을 설명하는게 명확하지가 않고 진짜 애매모호하고 이해가 잘 안돼서 상당히 어려움을 겪었는데(이런 이유로 그냥 콜백 안썼다.) 콜백이라는 개념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고, lifecycle에 대한 이해만 명확하다면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M..

Dev/React.js 2023.06.01

[JavaScript] 함수는 1급 객체 (First-Class Object)

오늘은 1급 객체에 대한 이야길 해볼건데, 이게 왜 중요하냐면 대부분 이 내용 때문에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든 코드들이 구현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 내용을 이해하면 지금 우리가 이렇게 쓴다라고 거의 대충 감으로, 혹은 애매모호하게 이해하고 있던 부분들이 퍼즐이 끼워맞춰지는 것처럼 줄줄이 이해가 될거기 때문에, 아주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1. 1급 객체란? 정의 :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를 가리킨다. -출처: 위키 백과 1급 객체가 되기 위한 조건. -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 다른 함수를 인자로 전달 받는다. - 다른 함수의 결과로서 리턴될 수 있다. 위의 이야기들을 모두 종합하면, 결국 데이터를 다루듯이 동일하게 다룰 수 있는 것들 그러니까,..

Dev/JavaScript 2023.06.01

[코딩테스트] 삼총사

오랜만에 코딩테스트 글을 쓰는데 내가 푼 풀이가 맞는것 같은데 도저히 안풀려서 결국 찾아왔다. 답을 보니까 내가 한거에서 반복문 시작지점을 +1 해주는 식으로 풀었던데.. 내가 생각을 잘못하고 있었던건가? 난 중복되는 배열까지 다 찾은 다음에 중복제거에 고생을 했는데 정답은 애초에 지나간 번호는 아예 돌아보지도 않았음... 문제 설명 한국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각자 정수 번호를 갖고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 3명의 정수 번호를 더했을 때 0이 되면 3명의 학생은 삼총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있고, 각각의 정수 번호가 순서대로 -2, 3, 0, 2, -5일 때, 첫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하면 0이므로 세 학생은 삼총사입니다. 또한,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

Dev/Algorithm 2023.05.31

[React] MobX

저번 React Query에 이어서 Mobx를 가져와봤다. 솔직히 상태관리 도구 하나만 해도 써야할 얘기가 수두룩 빽빽한데 굳이 여러 개를 다 써두는 이유는, 다 써봐서 그렇다. 학원 수료하고 개발자가 커리어 시작하면 React할거라고 생각도 안했는데, 대뜸 첫회사에서 우리는 MSA로 React 개발한다. 이렇게 말을 할 줄은 나도 몰랐지. 거기다 하필 처음한 프로젝트가 Redux로 만들어진 Legacy 추가기능 개발, 그 다음 프로젝트가 React Query로 전환하는 첫 마루타일줄은 난 몰랐지. 그래서 진짜 초단기로 상태관리 툴 3개를 써버렸는데, 솔직히 하나만 주구장창 써온 나보다 더 경력 있으신 분들 생각하면 난 개똥이겠지만 그래도 괜찮다. 다양하게 얕게 아는거도 일단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최선..

Dev/React.js 2023.05.30

[원리] 실수 표현 원리

JS 관련 밈을 보면 JS가 어처구니 없는 결과 값을 보여주는 순간들이 있어서 웃긴 것들이 꽤 있는데, 그 중에 1.1+1.2 == 2.3 이 false라는 것도 심심찮게 보이곤 한다. 그걸 보다가 왜 저런 결과가 나오는건지 궁금해져서 조금 찾아보게 됐는데, 이는 비단 JS 만의 문제가 아니라 float, double 형을 쓰는 모든 언어들이 같은 문제를 겪는다고 볼 수 있다. 오늘은 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이진법 즉, 0과 1로 모든 말을 알아듣는다. 당연히 실수를 저장할 때도 10진수로 표현된 수를 이진법으로 변환해서 저장을 할텐데, 이 때 소수점 아래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이 여러가지로 쓰인다. 여기서는 일단 float, double형에서 사용하게 되는 부동소수점 방식을 다룰..

Dev/JavaScript 2023.05.30

[잡담] 블로그를 써야 하는 이유

오늘은 왜 개발자가 블로그를 써야하는가? 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최근에 내 입사동기도 같이 쓰기 시작해서 둘이 서로 블로그 구독해두고 신나게 재밌게 쓰고 있는데, 쓰다보니 이거도 주제도 괜찮다 싶기도 한데다가 많은 신입 개발자들이 개발을 하기 시작하면 주변에서 공부하는걸 얘기하면서 기술 블로그를 써보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나도 그런 얘기를 들었었고, 쓰다보니 이거 쓰면 좋다. 라는 생각이 들어서 작성해본다. 솔직히 결론부터 말하면 안써도 되긴 함. 근데 이직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으면 제발 좀 써라. (쓰란 뜻임.) 이유 1. 공부를 하게 된다. 블로그를 작성하려면 내가 뭐 얕게라도 좀 알아야 글이 써진다. 내 블로그만 봐도 솔직히 틀린 내용 진짜 많을 것 같고, 내 뇌피셜로 써제끼는 것도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