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잡담 41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 (20)

오늘은 공수라는 개념에 대해서 한번 얘기해볼건데, 이게 SI 업계에선 빠질 수가 없는 내용이다. 이거때매 울고 웃고 다한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나도 공수보고 화들짝 놀라서 전 회사 탈출 한거기도 하다.  공수가 뭔가요?공수란, 정보처리기사 공부해보면 볼텐데 그 맨먼스(ManMonth)라고 하는 그거다. 특정 작업량을 몇명의 개발자가 몇개월동안 해야하는지 그 계산을 해보는 거다. 뭐 현장에 따라서 세밀하게 쪼개서 맨데이(ManDay), 맨위크(ManWeek) 이렇게 쪼개는 곳들도 있긴함. 근데 기본적으로는 맨먼스를 기준으로 공수를 산정한다고 보면 되겠다.  공수가 왜 문제인가요?공수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돈을 받기 위해선 당연히 내가 하는 업무의 가치를 환산해서 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공수..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 (19)

오늘은 한 사례를 주워듣고와서 아 이거 소재로 써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어 왔다. 어떤 PM을 만나면 당장 탈출해야하는지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이전에 PM 욕을 한바가지 써놓은 적이 있긴한데, 오늘은 "절대 탈출해야만 하는 PM" 으로 이야기하려고 함.  뭐 썰을 풀자면 모 PM 한 명이 일정관리, 인원관리, 진척도관리 등 걍 모든게 똑바로 되지가 않아서 개발자들이 삽질 + 철야 + 매일 야근 + 매주 주말출근 까지 하는 놀라운 프로젝트였다. 뭐 심지어 팀원들 사이에 갈등 조장 + 팀원 중 한 명과 감정적인 마찰 + 중간 리더 견디다 못해 퇴사, 하지만 돈을 벌어야하니 있는 애들 갈궈서 어떻게든 결과물 제출 이런 식으로 최악의 결과물을 낳으신 대단한 PM이시던데.. 디테일하게 한번 얘기해보자. ..

[공지] 수강생 구함

뭐 개발선생님 일기 카테고리에 몇 줄 찌끄려놓은걸 보면 알겠지만, 나는 내가 성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 개발자를 업으로 하고 있지만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개발에 입문하고 싶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서 무료로 코딩 / 웹개발 수업을 하고 있다. 4분 정도 1~3개월 수업을 해본 경험이 있고, 지금도 회사에서 개발교육을 어느정도 하고 있다. 완벽한 커리큘럼은 아니지만 그래도 성심성의껏 모르는 부분은 친절하게 가르쳐주고자 애쓰고 있다.  처음에는 하루에 한명도 안들어오는 블로그였다만, 개설하고 1년 이상 지나고 꾸준히 포스팅을 해왔다보니 생각보다 블로그를 보러 들어오시는 분들이 꽤 생긴 것 같기도 하고, 연차도 이제 만 3년가까이 되었기 때문에 강사님, 교수님까진 아니라도 멘토가 될 자격은 있다고 생각해 블..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18)

요즘 DeepSeek가 아주 이슈다. Chat GPT 와 같은 기존의 AI들에 비해서 파격적인 비용절감을 해냈기 때문에 AI도 보급화가 되지 않을까 하는 특이점이 온 것 같다. 뭐 이게 중요한게 아니고 저 DeepSeek 라는 녀석 때문에 번뜩 하나 써볼까~ 하는 주제가 생각이 났는데 그 얘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내가 만 1년차도 안됐던 시절에 이 AI 라는게 막 급부상하기 시작했는데, 그 때 주변 사람들을 보면 막 Chat GPT 한테 코드를 어떻게 짜야할지 물어본다거나 하는 일이 많았다. 나는 이런 행동에 대해서 반대하는 편이었는데 오늘 그 이유를 한번 얘기해보도록 하자. 1.  Chat-GPT 써도 공부된다?GPT의 힘을 빌려서 실제로 공부하고 많은 도움을 얻고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난 좀 ..

[SSUL] 대한민국 개발자로 살아남기 (1)

좋소 SI 를 탈출했으니 굳이 이런 뻘글을 써야할 이유가 없을거야. 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더라.. 세상은 넓고 병신은 많다고.. 주변 환경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 그냥 병신이 당연히 있는거라면 대기업가서 돈 많이 받으면서 병신 상대하자. 하여튼 병신이 많다는 것을 전제로 원래는 좋소 SI를 타겟으로 해서 대부분이 회사 이야기였지만 이제 개발업계, 어떤 개발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한다. 내가 하는 얘기가 자기 얘기라는 생각이 든다면 댓글로 화내고 욕박지말고 공부해라 제발. 전문적인 지식이 어느정도 필요한 직업인데, 퇴근하면 쳐놀면서 돈 버는건 맞다고 생각하는건가 그럼? 하여튼 오늘은 이런 분노를 바탕으로 "도태된 개발자" 에 대해서 한번 얘기해보려고 하는데, 여러분의 주변을 둘러봐도 분명 한 두명은 있..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17)

아주 오랜만에 또 블로그에 글 갈기러 왔는데 기술 얘기가 아닌것이 유감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얘기하면 요즘은 그닥 기술얘기를 쓰고싶지가 않음. 그렇다고 공부를 안하는 건 아닌데, 이게 설명을 하자니 내용이 길고 내가 A라는 기술을 기록을 하려고 하면 그 A가 나오기까지 모든 히스토리를 기록해둬야 된다는 마인드라서 오히려 손이 잘 안가게 된다.  하여튼 오늘은 여전히 SI라는 업계에 대한 소식을 꾸준히 접하고 있고, 이제 SI 업계에서 발을 뗀 입장이긴하지만 내 생각 상 SI 개발자로 살아가기 위해서 갖춰야할 마음가짐이랄까. 행동 양식에 대해서 좀 명확하기 전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번 써보고자 한다. (이거 못지키면 걍 SI 할 자격이 없는 리스트 이런거임.) 주변인 중에 현재 SI 프로젝트에 ..

[개발선생님 일기] 회사에서 선생님 데뷔한 썰

내 주변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내용이긴한데, 나는 내 공부도 할겸 다른 사람들한테 도움도 줄겸 무료로 개발 수업을 하고 있다.아예 신입개발자라면 입문(용어정리나 뭐 기본적인 개념들)부터 가르쳐주고, 이미 개발자로써 개발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Front End 개발 쪽으로 수업을 하고 있는데, 운이 좋게도 이번에 회사에서 같은 팀원들을 대상으로 React App 개발 교육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러면서 스스로 좀 피드백을 하게 되었는데, 후기삼아 또 기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록을 한번 남겨보고자 한다.  일단 기본적으로 우리 회사는 테크 회사가 아니다. 테크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지금 개발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입사 전에 웹개발을 정규적으로 배웠던 분들이 아닌 경우도 있었고, 단순한 코딩만 해..

[SSUL] SI 신입개발자로 살아남기(16)

오늘 가져온 건은 한 몇달 전까지만해도 채용공고를 뒤적거리고 있던 내가 아 이거 소재로 써야겠다 하고 귀찮아서 안쓰고 있던 내용인데, 도대체 이런 채용공고를 내는 미친 회사는 안사라지나? 라는 의미에서 한번 써본다.  얘기하기에 앞서 혹시 React가 언제 세상밖에 나와서 오픈소스가 되었는지 알고 있는가?만일 모른다면 꼭 기억해두길 바란다.  1. 10년차..?대충 한 4,5개월전에 봤던 SI 채용공고인데, 아마 다른 회사들도 그런게 꽤 있지 않을까 싶다. Front-End 시니어를 채용한다는 공고 였었는데 React를 사용한 실무 개발을 한지 경력이 10년 이상 뭐 15년 이상된 개발자를 찾는다. 이런 식으로 채용공고를 띄우는 개똥같은 회사들이 있더라. 왜 그냥 메타 출신 개발자를 찾지 그래요? 라고 ..

[잡담] 언어를 바탕으로한 세력 형성에 대한 고찰

개발자로 일하면서 가끔 혼란하다 혼란해 하는 상황을 마주하게 되는데, 그게 바로 언어를 바탕으로한 세력형성이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가끔 개발자들이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가지고 정치를 하는 케이스를 보게 되는데 오늘은 이 얘기를 한번 해보고자 한다. 얼마 전 나는 이직을 하게됐는데, 대충 내가 뽑힌 이유를 정리하자면 지금은 퇴사한 누군가가 싸놓은 똥을 치우러 왔다. 라고 하면 되겠다. 직전 회사에서 프론트엔드 쪽 기술에 스탯을 몰빵해버린 내가 딱 적당했던 이유는 싸둔 똥이 모조리 JS, React, Next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이었다. 뭐 이건 각설하고, 어쩌다 이렇게 됐냐가 중요한데 그 이유가 바로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 및 그 언어와 관련된 프레임 워크로 개발하기 불리한 기능까지 모두 개발했..

[잡담] 개발자 진로에 대한 고찰

이번엔 개발자 진로에 대한 이야기를 살짝 써볼까 하는데 뭐 신입개발자 기준에서 SI를 갈지 SM을 갈지 서비스를 갈지 등등 선택하는 걸 넘어서 많은 개발자들이 안 그래도 서비스 기업에 혈안이 되어있는 것 같아 써본다. 일반적으로 학원을 수료하고 나오면 뭐 SI는 가면 안되는 곳이고 SM은 몸은 편한데 성장이 힘들고 뭐 어쩌고저쩌고 하는 얘기를 듣게 된다. 근데 개발업에 몸담고 한 반년만 있어도 이게 내가 오랫동안 일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라는 고민에 빠지게 되는데 이러면 솔직히 서비스도 가고싶지가 않을 때가 생긴다. (물론 그렇다고 내가 안 가고 싶은건 아님.) 근데 이게 사실 따지고보면 딱딱딱 너는 SI, 너는 SM, 너는 서비스 이렇게 등분할 수 있는게 아니다. SI기업도 나름대로 지들 솔루션을..

728x90